본문 바로가기
경제

퇴직금 계산기 세전·세후 총정리 - 계산기 제공

by Dipthink 2025. 5. 9.
반응형

퇴직금 세전·세후 계산, 어떻게 다를까요?

퇴직금 계산기 사용법과 절세 팁까지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빠르게 퇴직금 계산 방법을 원하시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

퇴직금 계산기 세전·세후 총정리

퇴직금을 받을 시기가 다가오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질문은 바로 “내 퇴직금, 세전 금액이랑 세후 금액이 얼마나 차이 날까?”입니다.

퇴직금은 법적으로 일정 기준에 따라 산정되지만, 세금이 어떻게 부과되느냐에 따라 실수령액(세후 금액)이 크게 달라질 수 있어요. 따라서 정확하게 퇴직금을 계산하려면 세전 금액과 세후 금액을 동시에 고려한 계산이 중요합니다.

퇴직금 기본 계산 공식

퇴직금의 기본 계산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예를 들어, 월 평균 급여가 300만원이고 10년 근무했다면:

👉 300만원 ÷ 30일 × 30일 × 10년 = 3,000만원 (세전)

하지만, 실제로 이 금액을 모두 받는 것은 아닙니다. 퇴직소득세가 부과되기 때문이죠.

퇴직소득세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퇴직금의 세후 금액을 구하려면 퇴직소득세를 계산해야 합니다. 복잡한 세율과 공제 기준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다음 단계를 따릅니다.

  1. 퇴직소득 = 총 퇴직금 – 근속연수공제 – 기본공제
  2. 퇴직소득 × 퇴직소득세율 = 납부세액
  3. 총 퇴직금 – 납부세액 = 실수령액 (세후 퇴직금)

퇴직소득세율은 근속기간과 퇴직소득 금액에 따라 달라지며, 누진세 구조이기 때문에 고액 퇴직일수록 세율이 높습니다.

 

퇴직금 계산기 사용법 (세전/세후 둘 다 확인)

정부 및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퇴직금 계산기를 활용하면 세전과 세후 금액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근속연수 입력
  2. 월 평균임금 입력
  3. 퇴직사유 선택 (정년/임의/징계 등)
  4. 결과 확인 

> 아래 이미지는 계산기로 바로 연결됩니다. 

이 계산기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세전 퇴직금, 퇴직소득공제, 세금, 실수령액까지 정리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요.

👉 대표 계산기: 국민연금공단, 금융감독원, 은행 앱

반응형

퇴직금 세후를 높이기 위한 절세 팁

  • 퇴직금 IRP 계좌 이체: 퇴직소득세를 이연하거나 분할 수령 가능
  • 퇴직 시기 조정: 연초 퇴직보다 연말 퇴직이 유리할 수 있음
  • 30년 이상 근속 시 세금 감면: 근속기간에 따른 공제 혜택 큼
  • 비과세 한도 고려: 일정 금액 이하일 경우 세금이 면제되기도 함

세전 VS 세후 차이는 얼마나?

예를 들어, 월 평균 급여 400만원, 근속 15년인 경우:

      • 세전 퇴직금: 약 6,000만원
      • 세후 실수령액: 약 5,100만원 (퇴직소득세 약 900만원 차감)

이처럼 약 15% 정도 세금 차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미리 세후 금액까지 확인하고 재무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시 2

      • 월 평균 급여: 250만원
      • 근속 기간: 10년
      • 세전 퇴직금: 약 2,500만원
      • 세후 실수령액: 약 2,200만원 (퇴직소득세 약 300만원)

중간 수준 급여 및 근속 기준. 약 12% 세금. IRP 계좌 활용 시 절세 가능성 있음.

예시 3

      • 월 평균 급여: 500만원
      • 근속 기간: 20년
      • 세전 퇴직금: 약 1억 원
      • 세후 실수령액: 약 8,200만원 (퇴직소득세 약 1,800만원)

고액 퇴직금일수록 누진세율에 따라 약 18% 차감. IRP+분할 수령 전략 필요.

이처럼 약 15% 정도 세금 차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미리 세후 금액까지 확인하고 재무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무리하며

퇴직금은 인생에서 받는 가장 큰 금액 중 하나입니다. 세전 금액만 보고 계획을 세우면 실제 받는 금액과 차이가 커 실망할 수 있어요. 꼭 세후 실수령액까지 고려해 준비하시고, 필요하다면 전문가 상담도 받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