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스마트 정보

2025 에너지바우처 신청 대상, 제외 조건

by Dipthink 2025. 6. 5.
반응형

"에너지 바우처가 뭐에요?" "에너지 바우처 어떻게 받아요?"
여름엔 시원하게, 겨울엔 따뜻하게!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한 에너지바우처 제도가 2025년에도 시행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에너지바우처 신청 대상, 금액, 신청기간, 사용방법

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 목차


1. 에너지바우처란?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연탄, LPG, 등유 등 에너지 사용을 위한 비용을 정부가 바우처로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중 에너지 취약계층이 신청할 수 있으며,

하절기/동절기 전기요금 차감 또는 실물카드

로 사용 가능합니다.

에너지 바우처 사용하세요. 발전소 앞에서

2. 신청 대상 & 제외 조건

에너지바우처는 모든 저소득층이 자동으로 받을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반드시 소득 요건세대원 요건이라는 두 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신청 가능합니다.

✅ 신청 조건 (두 가지 모두 충족해야 함)

✔ 1. 소득기준

에너지바우처는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라 수급자 지위를 가진 가구 중 아래 급여를 받고 있는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생계급여 수급자
    생활이 매우 어려운 가구로 정부가 매달 생계비를 지원
  • 의료급여 수급자
    의료비가 부담되어 진료비 전액 또는 대부분을 국가가 지원
  • 주거급여 수급자
    임대료 지원 또는 집 수리비 등을 받는 저소득 가구
  • 교육급여 수급자
    초·중·고 자녀가 있는 가구로 학용품비, 수업료 등이 지원됨

☑️ 즉, 이 네 가지 중 한 가지라도 받고 있어야 기본 소득요건을 충족합니다.


✔ 2. 세대원 특성기준

위 소득 기준을 충족한 세대라 하더라도, 해당 세대에 아래 조건을 만족하는 가족 구성원이 있어야 에너지바우처 신청이 가능합니다.

  • 노인: 1960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만 65세 이상)
  • 영유아: 2018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 (만 6세 이하)
  • 장애인: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등록된 장애인
  • 임산부: 현재 임신 중이거나, 출산 후 6개월 이내인 여성
  • 중증질환자, 희귀질환자, 난치질환자: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의해 특례 질환자로 등록된 사람
  • 한부모가정: 혼자서 미성년 자녀를 양육 중인 ‘모’ 또는 ‘부’
  • 소년소녀가정: 부모가 없거나 보호가 필요한 아동을 포함한 가정위탁 보호 대상자

📌 다시 말해, 해당 조건에 해당하는 세대원이 단 1명이라도 있으면, 세대 전체가 신청 자격을 갖게 됩니다.

❌ 신청 불가한 경우 (제외 대상)

다음의 경우에는 에너지바우처를 신청할 수 없습니다.

  1. 세대원 전원이 ‘보장시설’에 거주하는 경우
    • 보장시설이란 정부에서 보호·거주시설을 제공하는 곳입니다.
    • 이런 경우에는 개별적으로 에너지 비용을 부담하지 않기 때문에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다른 제도로 이미 동절기 에너지 지원을 받는 경우
    • 예: 「긴급복지지원법」에 따른 연료비 지원을 이미 받은 경우
    • 예: 연탄쿠폰을 이미 발급받은 세대
    이 경우 에너지바우처와 중복 수급이 불가능합니다.
    단, 하절기 바우처는 사용할 수 있으며, 동절기에는 중지 처리됩니다.

💡 요약 정리

구분세부 내용
신청 가능 조건 생계/의료/주거/교육 수급자 + 세대원 중 노인, 영유아, 장애인 등
신청 불가 조건 보장시설 거주자만 있는 세대, 연탄쿠폰·연료비 등 중복 수급자

3. 에너지바우처 지원금액 (2025년 기준)

세대 구성 총 지원금액 하절기만 지원 시
1인 세대 295,200원 40,700원
2인 세대 407,500원 58,800원
3인 세대 532,700원 75,800원
4인 이상 701,300원 102,000원

💡팁: 2025년부터는 동·하절기 구분 없이 전체 금액을 자유롭게 사용 가능합니다.

4. 신청 및 사용 기간

자격확인과 모의계산 페이지

  • 신청: 2025년 6월 9일 ~ 12월 31일 (행정복지센터 방문)
  • 사용: 2025년 7월 1일 ~ 2026년 5월 25일

가상카드는 요금 고지서에서 자동 차감

, 실물카드는 국민행복카드로 별도 결제

5. 에너지바우처 신청 절차 (5단계)

한국 에너지 공단 안내 페이지

  1. 신청: 주민센터 방문 또는 대리 신청
  2. 선정: 시스템 자동 심사 및 통보
  3. 지급: 카드 또는 가상 포인트 방식
  4. 사용: 전기요금 차감, 도시가스 결제 등
  5. 정산: 지자체 및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정산

6. 알아두면 좋은 팁

자주찾는 서비스 - 에너지 바우처

 

2025.06.05 - [생활 스마트 정보] - 에너지바우처 가상카드 vs 실물카드 차이점 완전 정리

 

에너지 바우처 가상카드 vs 실물카드 차이점 완전 정리(잔액조회)

에너지 바우처 신청했는데…“가상카드랑 실물카드 중 뭐가 더 좋아요?”헷갈리는 분들을 위해 둘의 차이점, 장단점, 선택법을 완벽 정리해 드립니다! 그리고 잔액조회 방법도 알려드려요. ✅

think-11.tistory.com

 

 

반응형